[리눅스] mtime 명령어 활용
특정 기간에 작성, 변경된 파일 목록을 조회하고 싶을 때 find 명령어에서 -mtime옵션은 파일명에 있는 날짜가 아니라 파일의 타임스탬프로 파일을 검색한다.
ex) 11월 25일 10시 30분이면 1일전은 11월 24일 10시 30분이 된다.
- 사용 예

# find -name "*.log" -mtime -2 -exec ls -lrt {} \;
-mtime옵션 -2 : 2일(48시간) 이내에 작성, 변경된 파일 조회
=> 현재 날짜가 10월 23일 2시 36분 이므로
10월 21일 2시 36분 ~ 현재시간 사이의 파일 조회.
# find -name "*.log" -mtime 2 -exec ls -lrt {} \;
-mtime옵션 2 : 2일(48시간) ~ 3일(72시간) 사이에 작성, 변경된 파일 조회
=> 현재 날짜가 10월 23일 2시 36분 이므로
10월 20일 2시 36분 ~ 10월 21일 2시 36분 사이의 파일 조회.
# find -name "*.log" -mtime +2 -exec ls -lrt {} \;
-mtime옵션 +2 : 3일(72시간) 이전에 작성, 변경된 파일조회
=> 현재 날짜가 10월 23일 2시 36분 이므로 10월 20일 2시 36분 이전의 파일 조회.
# find -name "*.log" -mtime +1 -mtime -4 -exec ls -lrt {} \;
-mtime옵션은 다중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mtime옵션 +1 : 2일(48시간) 이전에 작성, 변경된 파일 조회
-4 : 4일(96시간) 이내에 작성, 변경된 파일 조회
=> 현재 날짜가 10월 23일 2시 36분 이므로
-4(10월19일 2시 36분) ~ +1(10월 21일 2시 36분) 사이의 파일 조회.
-mtime옵션은 -,+ 부호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지므로 확실히 숙지해서 사용하자.
출처 : https://m.blog.naver.com/ooa1769/220521238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