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운영 및 관리] iptables 특정 포트 열기 / 닫기 (iptables 사용법)
2022. 6. 15. 14:56
리눅스 ( Linux )/리눅스 운영 및 관리
목차 1. iptables 란 1.1. iptables 설치 1.1.1. firewalld 중지 및 서비스 마스킹 1.1.2. iptables 설치 1.1.3. iptables 데몬 제어 명령어 1.2. iptables 기본 명령어 1.2.1. [테이블(table)] 1.2.2. [액션(action)] 1.2.3. [체인(chain)] 1.2.4. [매치(matches)] 1.2.5. [타깃( -j target)] 2. iptables 특정 포트 및 서비스 열기 / 닫기 2.1. 포트 허용(ACCEPT) 2.2. 포트 차단(DROP) 2.3. 정책 삭제(-D) 1. iptables 란 - 리눅스의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도구로서 방화벽 구성이나 NAT(Network Address T..

[리눅스] mtime 명령어 활용
2020. 4. 13. 07:43
리눅스 ( Linux )/리눅스 명령어
- 사용처 특정 기간에 작성, 변경된 파일 목록을 조회하고 싶을 때 find 명령어에서 -mtime옵션은 파일명에 있는 날짜가 아니라 파일의 타임스탬프로 파일을 검색한다. * 기본 사용법은 find -mtime n (일수)를 지정하는데 'n일 전 = n x 24시간전' ex) 11월 25일 10시 30분이면 1일전은 11월 24일 10시 30분이 된다. 그보다 25시간 전인 11월 24일 9시 30분은 그저께가 된다. 달력상의 n일전이 아니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 정리 한편 -mtime은 +, - 부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find -mtime -3 3일(72시간)보다 새로움 find -mtime 3 4일(96시간) 전에서 3일(72시간)전까지 find -mtime +3 4일(96시간)전보다..
[리눅스] find 명령어
2020. 4. 13. 07:36
리눅스 ( Linux )/리눅스 명령어
-exec 명령 : 주어진 명령을 수행한다. 가장 흔히 쓰이는 행동들 중 하나이다, 명령에 매개변수들을 지정하는 방법은 이 표 다음에서 설명한다. 이 행동 끝에 \;를 붙어야 한다. -ok 명령 : -exec와 같되 각 파일마다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확인을 받는다. 이 행동 역시 끝에 \;를 붙여야 한다. -print : 파일 이름을 출력한다. 1. root 디렉토리로 부터 *.jpg 를 찾아 현재 디렉토리에 복사하기 ☞ find . -type f -name *.jpg -exec cp {} . \; 2. 현재 디렉토리로 부터 10M 이상의 화일을 찾아서 출력하기. ☞ find . -type f -size +10000 -exec ls -alh {} \; 3. 현재 디렉토리로 부터 하루 이상 경과..

RTMP와 HLS & (RTP, RTCP, RTSP)
2020. 3. 30. 14:08
리눅스 ( Linux )/리눅스
RTMP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 2009년 1월 20일에 발표된 어도비 시스템즈 사의 독점 컴퓨터 통신 규약 * RTMP는 오디오, 비디오 및 기타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 할 때, 사용 * RTMP는 플래시 플레이어와 서버 사이의 통신에 이용. RTMP종류 설명 RTMP * 1935번 포트를 사용하며 암호화되지 않은 프로토콜. * 1935번 포트로 시도하여 실패 시, 433 포트(RTMPS)나 80 포트(RTMPT)로 재시도. RTMPT (RTMP Tunneled) * RTMP 데이터를 HTTP로 랩핑. 기본 포트는 80번. HTTP 헤더로 인해 RTMP보다 크기가 큼. RTMPS (RTMP Secure) * RTMP 데이터를 HTTPS로 랩핑. 플래시 플레이..
원격 접속 SSH
2020. 3. 23. 10:03
리눅스 ( Linux )/리눅스
SSH 원격 접속 - 리눅스를 처음 접할 경우 터미널과 Telnet과 SSH와 같은 프로토콜 등에 대한 용어와 쓰임새에 대해 많이 혼동한다. - '리눅스 환경에서 터미널을 열었으니 SSH접속이 된 것이다'라고 생각할 순 있으나, 이는 터미널 환경에서 명령어 셸을 통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것일 뿐이며 SSH 프로토콜을 사용한 것은 아니다. 1. 원격 접속이 왜 필요할까? - 리눅스 서버 구축시 터미널이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해 여러가지 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리눅스 서버는 회사에서 사내 서버로 한 장소에 묶어 두거나, 호스팅 업체 및 클라우드 호스팅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관리자와 멀리있는 곳에 서버가 위치한 경우가 많다. - 서버 작업 처리 시마다 매번 해당 서버가 위치한..

원격 접속 VNC
2020. 3. 22. 18:56
리눅스 ( Linux )/리눅스
CentOS는 다양한 종류의 원격 접속 방법을 지원한다. 서버는 원격지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격지에서 서버를 쉽고 빠르게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그래픽모드로 접속하는 방법과 텍스트모드로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가장 일반적 사용법은 ssh 통한 원격 접속이며 성능 및 보안면에서 가장 강력하지만, 초보자에게는 조금 까다로울수 있다. 각 원격 접속 방법에 따라 서버에서 설정해 줘야하는 사항들이 있다. 접속방법 모드 root접근 기본 포트 특징 VNC GUI 별도 인증 TCP 5900 로컬에서 보는 것과 똑같음 SSH TUI 기본 O TCP 22 가장 많이 사용, 보안/성능 우수 TELNET TUI 기본 X TCP 23 보안에 취약 4.1 VNC - VNC (Virtual Network Computing..
디렉토리 종류와 특징
2020. 3. 19. 00:36
리눅스 ( Linux )/리눅스
1.2.1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역 트리(tree) 구조를 하고 있다. 루트(/)에서 크게 몇 가지의 주요한 디렉토리로 분할이 되고 특정한 디렉토리 하위에는 해당 디렉토리의 분류 기준에 따라 여러가지 디렉토리들이 놓이게 된다. - 이러한 디게토리 구조를 파일체제(filesystem, 파일시스템)라 한다. 1.2.2 디렉토리의 종류와 특징 / 디렉토리 - 리눅스 파일체제의 최상위 디렉토리는 /(루트)이다. 이것은 리눅스의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이며, 모든 디렉토리는 절대 경로로 표기할 때에 이 디렉토리부터 시작한다. /bin 디렉토리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mv, cp, rm, rmdir, df, sync 등과 같은 명령어들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 ..
root의 개념
2020. 3. 18. 23:16
리눅스 ( Linux )/리눅스
1.1.4 root의 개념 -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root)라고 얘기하면 root 사용자 계정과, root 디렉토리중 하나를 의미한다. - 리눅스 시스템은 사용자(User) 중심의 시스템이다. 따라서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계정이 있어야한다. 이러한 사용자 계정은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 계정(수퍼유저:Super User)과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나뉘어진다. 리눅스 및 유닉스에서는 모든 권한을 가진 최고관리자 계정이 root이다. MS-Windows의 경우는 Administrator 계정이 최고 관리자 권한을 갖고 있다. - root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시스템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으로서 리눅스 시스템 운영을 위한 모든 권한을 가지며 슈퍼유저라고 지칭하기도 ..
리눅스 기본명령어/자주쓰는 명령어
2020. 3. 17. 08:41
리눅스 ( Linux )/리눅스 명령어
모든 명령어는 명령어 뒤에 --help 옵션을 주면 자세한 사용 방법이 나온다. 예를들어 ls 명령어의 자세한 사용 방법과 모든 옵션을 알고싶으면 ls –help를 입력하면 된다. 따라서 모든 옵션을 상세하게 다루기보단, 실무를 하며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와 옵션 위주로 정리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정보 출력 $ pwd /home/itholic cd (change directory) 경로 이동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로 이동 가능하다. $ cd /home/itholic/mydir $ pwd /home/itholic/mydir $ cd .. $ pwd /home/itholic ls (list) 디렉토리 목록 확인 $ ls testfile1 testf..

Buffer Memory와 Cache Memory의 차이점
2020. 3. 16. 14:15
리눅스 ( Linux )/리눅스
-- Reference : cafe.naver.com/radio25 (둘리), Empas 지식 -- Key word : 버퍼 캐쉬 메모리 CPU ================================================================= ◆ 캐쉬 메모리 - Random Access - 처리 속도가 다른 매체 처리(Ex. CPU-Cache-Memory, L2 Cache) - 최근에 사용한 데이터나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때 꺼내어 쓰기 위한 저장공간. ◆ 버퍼 메모리 - Sequence Access(FIFO) - 전송 속도가 다른 매체 처리(Ex. CPU-Buffer-HardDisk, Digital Camera) - 두개의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을 할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