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TMP와 HLS & (RTP, RTCP, RTSP)
2020. 3. 30. 14:08
리눅스 ( Linux )/리눅스
RTMP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 2009년 1월 20일에 발표된 어도비 시스템즈 사의 독점 컴퓨터 통신 규약 * RTMP는 오디오, 비디오 및 기타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 할 때, 사용 * RTMP는 플래시 플레이어와 서버 사이의 통신에 이용. RTMP종류 설명 RTMP * 1935번 포트를 사용하며 암호화되지 않은 프로토콜. * 1935번 포트로 시도하여 실패 시, 433 포트(RTMPS)나 80 포트(RTMPT)로 재시도. RTMPT (RTMP Tunneled) * RTMP 데이터를 HTTP로 랩핑. 기본 포트는 80번. HTTP 헤더로 인해 RTMP보다 크기가 큼. RTMPS (RTMP Secure) * RTMP 데이터를 HTTPS로 랩핑. 플래시 플레이..
원격 접속 SSH
2020. 3. 23. 10:03
리눅스 ( Linux )/리눅스
SSH 원격 접속 - 리눅스를 처음 접할 경우 터미널과 Telnet과 SSH와 같은 프로토콜 등에 대한 용어와 쓰임새에 대해 많이 혼동한다. - '리눅스 환경에서 터미널을 열었으니 SSH접속이 된 것이다'라고 생각할 순 있으나, 이는 터미널 환경에서 명령어 셸을 통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것일 뿐이며 SSH 프로토콜을 사용한 것은 아니다. 1. 원격 접속이 왜 필요할까? - 리눅스 서버 구축시 터미널이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해 여러가지 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리눅스 서버는 회사에서 사내 서버로 한 장소에 묶어 두거나, 호스팅 업체 및 클라우드 호스팅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관리자와 멀리있는 곳에 서버가 위치한 경우가 많다. - 서버 작업 처리 시마다 매번 해당 서버가 위치한..

원격 접속 VNC
2020. 3. 22. 18:56
리눅스 ( Linux )/리눅스
CentOS는 다양한 종류의 원격 접속 방법을 지원한다. 서버는 원격지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격지에서 서버를 쉽고 빠르게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그래픽모드로 접속하는 방법과 텍스트모드로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가장 일반적 사용법은 ssh 통한 원격 접속이며 성능 및 보안면에서 가장 강력하지만, 초보자에게는 조금 까다로울수 있다. 각 원격 접속 방법에 따라 서버에서 설정해 줘야하는 사항들이 있다. 접속방법 모드 root접근 기본 포트 특징 VNC GUI 별도 인증 TCP 5900 로컬에서 보는 것과 똑같음 SSH TUI 기본 O TCP 22 가장 많이 사용, 보안/성능 우수 TELNET TUI 기본 X TCP 23 보안에 취약 4.1 VNC - VNC (Virtual Network Computing..
디렉토리 종류와 특징
2020. 3. 19. 00:36
리눅스 ( Linux )/리눅스
1.2.1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역 트리(tree) 구조를 하고 있다. 루트(/)에서 크게 몇 가지의 주요한 디렉토리로 분할이 되고 특정한 디렉토리 하위에는 해당 디렉토리의 분류 기준에 따라 여러가지 디렉토리들이 놓이게 된다. - 이러한 디게토리 구조를 파일체제(filesystem, 파일시스템)라 한다. 1.2.2 디렉토리의 종류와 특징 / 디렉토리 - 리눅스 파일체제의 최상위 디렉토리는 /(루트)이다. 이것은 리눅스의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이며, 모든 디렉토리는 절대 경로로 표기할 때에 이 디렉토리부터 시작한다. /bin 디렉토리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mv, cp, rm, rmdir, df, sync 등과 같은 명령어들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 ..
root의 개념
2020. 3. 18. 23:16
리눅스 ( Linux )/리눅스
1.1.4 root의 개념 -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root)라고 얘기하면 root 사용자 계정과, root 디렉토리중 하나를 의미한다. - 리눅스 시스템은 사용자(User) 중심의 시스템이다. 따라서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계정이 있어야한다. 이러한 사용자 계정은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 계정(수퍼유저:Super User)과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나뉘어진다. 리눅스 및 유닉스에서는 모든 권한을 가진 최고관리자 계정이 root이다. MS-Windows의 경우는 Administrator 계정이 최고 관리자 권한을 갖고 있다. - root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시스템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으로서 리눅스 시스템 운영을 위한 모든 권한을 가지며 슈퍼유저라고 지칭하기도 ..

Buffer Memory와 Cache Memory의 차이점
2020. 3. 16. 14:15
리눅스 ( Linux )/리눅스
-- Reference : cafe.naver.com/radio25 (둘리), Empas 지식 -- Key word : 버퍼 캐쉬 메모리 CPU ================================================================= ◆ 캐쉬 메모리 - Random Access - 처리 속도가 다른 매체 처리(Ex. CPU-Cache-Memory, L2 Cache) - 최근에 사용한 데이터나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때 꺼내어 쓰기 위한 저장공간. ◆ 버퍼 메모리 - Sequence Access(FIFO) - 전송 속도가 다른 매체 처리(Ex. CPU-Buffer-HardDisk, Digital Camera) - 두개의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을 할때 ..
Raid 구성
2017. 4. 12. 19:59
리눅스 ( Linux )/리눅스
레이드(RAID) 라고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 봤을 듯합니다. PC를 많이 접하지 않는 분이시라면 바퀴잡는 레이드가 떠오르실 것이고, 게임을 많이 하시는 분이라면 온라인 게임에서의 보스급 몬스터 사냥 레이드~!! 그러나 제가 약간 언급할것은 HDD 구성의 Riad입니다 .^^ PC 부품중에서 ODD (CD/DVD/Multi)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아날로그적인 요소가 들어간게 HDD 이고 기계적인 동작 구조로 인해 급격한 성능 향상이 쉽지 않기 때문에 PC 부품중에서 가장 느린 부분으로 인식 되어 온 것도 어느정도 사실입니다. 레이드는 이런 HDD의 성능을 유일하게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이었으나 추가 적인 비용이 많이 들어서 일부 하이엔드 유저나 보다 빠른 게임을위한 몇몇 유저들만이 사용하는 시스템구성이었습니..
가상머신의 이해
2017. 1. 15. 01:59
리눅스 ( Linux )/리눅스
가상머신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잡고 넘어갑니다. 이후 다루게 되는 가상머신에 대한 이야기는 시스템 가상 머신중에 vmware, virtualbox에 대하여 알아보게 됩니다.그림출처 : http://www.quercussolutions.com/blog/index.php/windows-azure-virtual-machines-101/가상머신 정의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은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 즉 컴퓨터를 에뮬레이션1하는 소프트웨어다. 가상머신상에서 운영체제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가상 머신은 실제 컴퓨터와 어느 정도의 통신과 사용을 기반으로 두 가지로 나뉜다. 시스템 가상 머신은 완전한 시스템 플랫폼을 제공하며, 다시 말해 완전한 운영 체제 (OS..
파일의 구성 및 종류
2017. 1. 15. 01:43
리눅스 ( Linux )/리눅스
파일의 구성 요소 및 종류 리눅스에서는 모든 처리 과정을 파일 단위로 구성되며, 계층적인 구조의 특성을 지니기때문에 리눅스에서의 파일이라는 개념은 '파일 이름', 'I-node', '데이터 블록'의 세 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해야만 파일로서 존재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1. 파일 이름 파일의 이름은 사용자가 파일을 접근하고 구분하며, 조작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2. I-node 'I-node'는 'Index node'라고도 하며, 파일을 기술하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 구조로서 파일의 데이터 블록이 디스크 상의 어느 주소에 위치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면 하나의 I-node가 생성되어지고 I-node 번호가 부여되며, 해당 파일 정보를 통해 I-no..
쉘이란?
2017. 1. 15. 01:41
리눅스 ( Linux )/리눅스
유닉스나 리눅스를 공부하는 많은 초심자들이 처음으로 부닥치는 어려움이 바로 Shell(쉘) 이다. 이 쉘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않으면 유닉스나 리눅스 서버에서 주로 업무를 하는 엔지니어가 되고자 하나 초심자 수준를 벗어날 수 없다. 그만큼 쉘을 정확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유닉스나 리눅스의 운영체제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수준을 가늠하는 하나의 지표로 써도 될만큼 중요하다. 쉘의 정의 쉘(Shell)은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읽고 해석하여 대신 실행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쉘을 Unix나 리눅스에만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Windows 운영체제나 다른 운영체제에도 Shell은 필수적으로 존재한다.운영체제는 로그인한 사용자가 없다면 하나의 쉘도 실행되지 않는 상태다.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