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ping(뺑뺑이)은 왜 생길까?
☞ 루핑(Looping)은 프레임이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돌기 때문에 이더넷 특성상 네트워크가 조용해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녀석들이 계속 네트워크가 조용해지기를 기다리기만 할 뿐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해지는 상태이다.
◉ 폴트 톨러런트(Fault tolerant)와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 폴트 톨러런트란(Fault tolerant)?
*네트워크 상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를 대비해서 미리 장애 대비를 해놓는 것.
*두 대의 라우터 장비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한 대가 죽었을 때 자동으로 다른 라우터가 기존 라우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로드를 분산 즉, 인터넷 회선을 두 개 사용한다.
스패닝 트리되지 않는 스위치는 팥 없는 찐빵!
- 스패닝 트리(Spanning Tree)는 자동으로 루핑을 검색해서 이런 루핑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리 막아주는 역할
*만약 루핑 발생시 스위치 간의 두 개의 링크중 하나를 끊어 놓는다.
*실제 링크는 두 개지만 데이터는 한쪽으로만 다니게 하는 것이다.
- 즉,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이란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루핑을 미리 막기 위해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들을 자동으로 막아두었다가 만약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풀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알고리즘이다.
-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에 의해서 현재의 링크가 끊어졌을 때 대기하고 있던 다른 링크가 다시 살아나서 연결을 해주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1분이다.
'Network books > 후니의 Cisco 네트워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 스패닝 트리 (0) | 2018.11.05 |
---|---|
4-3. 서브넷 마스크 (0) | 2018.10.30 |
4-1. 스위치/브리지 기능 (0) | 2018.10.29 |
4-0. 스위치의 시작과 브리지 (0) | 2018.10.29 |
3-0. 허브 (0) | 2018.10.29 |